ApacheZone
아이디    
비밀번호 
Home >  문학회 >  회원작품 >> 
 

* 작가명 : 이성화
* 작가소개/경력


* 이메일 : jhdgin@hanmail.net
* 홈페이지 :
  호랑이 비누    
글쓴이 : 이성화    21-06-30 14:07    조회 : 5,071

호랑이 비누

이성화

 

엄마, 호랑이 꺼내 줘!”

수제 비누 속에 호랑이 한 마리가 늠름하게 서 있었다. 동물 장난감이 비누 속에 들어갔다고 생각했는지 아들 녀석은 꺼내 달라고 방방 뛰었다. “손 깨끗하게 열심히 씻으면 호랑이가 나올 어?” 비누 속 호랑이가 모형인지, 아니면 무늬인지 순간 구분이 안 되어 말꼬리를 급히 바꾸었다. 무늬라면 비누를 쓰면 쓸수록 호랑이도 함께 없어질 테니까. 비누를 들고 손을 씻겠다며 화장실로 뛰어 들어가는 아들을 뒤로하고 비누의 출처인 딸들에게 호랑이의 생사를 확인하기로 했다.

2, 초등 6학년인 두 딸은 지역아동센터4년째 다니고 있다. 지역의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지원 사업으로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오카리나 같은 간단한 악기를 가르치기도 하고, 미술활동, 인성교육, 체험학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가끔 후원으로 들어오는 학용품을 받아서 쓰기도 했다. 학용품뿐만 아니라 어떤 때는 머리끈을 한 뭉치 받아오기도 하고 생리대나 비타민, 크리스마스 때는 과자를 받아 오기도 했다. ‘호랑이 비누포장지에는 이 비누는 어린이들의 위생환경을 해결하고 멸종위기 동물을 알리고자 KB국민카드 장희정 직원이 직접 만들었습니다.’라고 쓰여 있었다. 인쇄된 종이상자에 이름 칸만 비어 있는데 만든 직원이 자신의 이름을 적은 모양이었다. ‘직장 생활하기만도 힘들 텐데, 이런 일에 강제 동원된 것은 아니겠지?’ 문득 비집고 들어오는 멋쩍은 생각을 접고 큰딸에게 물었다.

비누 쓰다 보면 이 호랑이 나오나?”

엄마, 멸종 위기 동물 보호를 위한 캠페인이라는데, 비누를 쓰니까 호랑이가 없어져 버리는 건 너무 동심파괴 아니야?”

딸아이는 같이 센터를 다니는 친구가 궁금한 마음에 비누를 잘라서 호랑이를 꺼냈으니 비누와 호랑이가 같이 녹진 않을 거라며 호랑이가 멸종위기라니 놀랐다는 말을 덧붙였다.

나도 좀 충격이긴 했다. 멸종위기종이라고 하면 막연히 희귀 동물을 떠올렸다. 호랑이는 흔히 볼 수 없어도 친숙한 동물이라 이제 우리나라에 살 수 없겠다 싶으면서도 멸종위기라는 생각은 안 해 봤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서 분류한 멸종의 위기 등급에 따르면, 생존하는 개체가 단 하나도 없는 것이 절멸(Extinct, EX), 동물원이나 보호구역에 제한적으로 생존하는 것이 야생절멸(Extinct in wild, EW)이며 그다음이 심각한 멸종 위기종인 위급(Critically Endangered, CR)과 멸종위기종인 위기(Endangered. EN)이다.

위기(EN)에 시베리아 호랑이가 속해 있는데, 우리가 잘 아는 백두산 호랑이다. 19964월 국제야생동식물거래협약(CITES)에 제출한 보고서에 남한 지역에 호랑이가 없음을 명시하였다. 물론 우리 일상에서 호환(虎患)은 없어진 지 오래다. 폐쇄적인 북한의 특성상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없지만, 해외 학자들에 의해 호랑이나 그 흔적을 목격하였다는 증언이 있고, 지리상 야생 호랑이가 중국, 러시아 국경지역을 통해 진입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실제로 야생 호랑이가 서식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는 내용이 인터넷 검색에 줄줄 나왔다. 위기에 속하는 동물에 시베리아 호랑이뿐 아니라 승냥이, 두루미, 따오기, 침팬지, 황새 등 익숙한 이름이 많이 보였다.

 

인간이 동물들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환경운동가도 아니고 대단한 영향력이 있는 인사도 아닌 평범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 쓰레기 분리수거나 일회용품 안 쓰기 정도? 코로나로 재택근무가 늘면서 배달도 따라 늘고 재활용 쓰레기가 포화상태라는 기사를 봤다. 플라스틱, 일회용품은 안 쓰겠다고 다짐하는 댓글이 줄줄이 올라오고 있었다. 과대포장을 줄이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거나 중국집처럼 음식 배달 후 그릇을 수거하게 규제해야 하고, 분리수거 표준안을 만들고 재활용 산업에 투자해 기술개발과 인력을 확충하라는 꽤나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는 댓글도 많았다. 그런 댓글마다 좋아요가 몇백 개씩 달렸다. 이런 사람들이 많으니, 커피숍에서 일회용 컵과 플라스틱 빨대를 몰아낸 것처럼 하나씩 하나씩 환경을 위한 실천이 이어지지 않을까 싶었다.

이것이 옹벤져스(옹산+어벤져스)의 힘인가 하는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옹벤져스는 동백꽃 필 무렵이라는 드라마에 나온 시장 아줌마들이다. 자칭 옹산(드라마 설정상의 동네 이름)의 심장, 옹심이라는 아줌마들이 뭉쳐 연쇄살인마의 위협에 겁먹은 주인공 동백이를 지키기 위해 순찰에 나서고 결국 지켜낸다. 남자 주인공 용식이는 까불이(살인마)는 어디에나 있고, 누구나 될 수 있고, 계속 나올 거야.”라는 살인범에게 이렇게 얘기를 한다.

니들이 많을 거 같냐, 우리가 많을 거 같냐? 나쁜 놈은 100중에 하나 나오는 쭉정이지만 착한 놈들은 끝이 없이 백업(back up)이 돼야, 그게 바로 쪽수의 법칙이고 니들은 영원한 쭉정이, 주류는 우리라고.”

이렇게 평범하지만 올바른 사람들이 주류이기에 쭉정이들이 아무리 지구를 망쳐도 다시 복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면 과한 비유일까.

아무리 애를 써도 일단 망가진 환경을 되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고, 호랑이는 어쩌면 더 줄어들지도 모른다. 가까운 미래에는 공룡처럼 호랑이도 모형이나 영화로만 만날 수 있는 전설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우연히 본 TV 다큐멘터리에서 호랑이의 흔적을 따라가고 확인하는 것을 봤다. 험한 산속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찍은 영상이라는 것이 그대로 드러났다. 그러니 2010년에 벵골 호랑이, 남중국 호랑이, 수마트라 호랑이 등을 포함한 호랑이가 3,100마리였던 것에 비해 2017년 기준으로 총 3,890마리라는 것도 밝혔을 거다. 이런 것을 보면 영 희망이 없는 것은 또 아닐지도 모르겠다. 아이들과 함께 환경과 멸종 동물에 대한 책이라도 찾아 읽으며 이야기라도 나눠볼까.

 

당장 답이 나오지 않는 문제로 끝없는 생각 속을 달리는데, 아들이 호랑이 모형을 들고 달려왔다.

엄마, 작은누나가 호랑이 꺼냈어!”

비누를 잘라 호랑이를 꺼내더라는 큰딸의 말에 행동대장 작은딸이 비누를 조각내고 호랑이를 꺼낸 것이었다. 조각난 비누와 아직 군데군데 비누가 들러붙은 호랑이를 보니 으악!’ 소리가 절로 나올 거 같았지만, 꿀꺽 삼키고 잘했다고 해주었다. 조각난 비누야 그거대로 모아서 쓰면 되니까. 호랑이 모형을 들고 통통거리는 아홉 살 꼬맹이 모습에 웃음이 나왔다. 어쨌든 우리 집에선 호랑이를 한 마리 구출했다.

진짜 호랑이와 환경을 위한 삼벤져스(삼남매+어벤져스)의 활약을 볼 수 있는 날도 오기를 바란다.

 

<한국산문> 2021년 6월


 
   

이성화 님의 작품목록입니다.
전체게시물 28
번호 작  품  목  록 작가명 날짜 조회
공지 ★ 글쓰기 버튼이 보이지 않을 때(회원등급 … 사이버문학부 11-26 86116
공지 ★(공지) 발표된 작품만 올리세요. 사이버문학부 08-01 87854
28 남의 돈 이성화 06-30 5565
27 호랑이 비누 이성화 06-30 5072
26 당선과 당첨 사이 이성화 06-30 4857
25 열린 화장실 이성화 01-06 8452
24 꿈도 못 꾸나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보… 이성화 07-25 6413
23 삼남매의 방주 이성화 07-21 5650
22 상사화야, 우지 마라 이성화 07-21 5309
21 <기생충>을 보기 힘든 나만의 이유 이성화 07-21 5178
20 영역다툼 이성화 05-15 5140
19 꼰대엄마의 고뇌 이성화 05-15 4655
18 나 김원봉이요 이성화 05-15 4690
17 나비봉조목 이성화 04-26 5856
16 꽃이 슬픈가, 님이 미운가 이성화 04-07 5447
15 남편 교체 프로젝트 이성화 04-07 5628
14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같은 드라마 이성화 03-16 398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