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문 교정 시 준수사항
2022년 7월 수정
1. 띄어쓰기는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맞추어 진행한다.
(각 포털사이트에서 ‘국어사전’으로 들어가서 그때그때 확인.
네이버의 경우 3가지 국어사전을 등재해 두었는데,
국립국어원에서 참고하는 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입니다)
2. 말줄임표는 … 로 통일한다.
3. 한 낱말의 한자나 외국어를 병기할 때 동일한 음가의 경우에는 ( ) 없이 글자급수를 줄여 쓴다. 예) 성명姓名, 정수定數, 다이어리diary
*동일음가가 아닌 경우나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일 때는 ( )를 사용한다.
예) 말(馬) / 말(言), 세종대왕(1397~1450)
4.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 영화, 연극 등과 같은 예술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표시할 때는 「 」를 쓴다.
5. 작품집, 장편소설, 월간지나 신문 등의 이름을 표시할 때는 『 』를 쓴다.
6. 남의 글의 문장을 인용할 때에는 “ ”를 쓴다.
일반글(예: 사전 뜻풀이) 인용은 ‘ ’를 쓴다.
인용한 글이 문장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문장 끝에 온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미관상 혹은 집필습관상 찍지 않는 것도 허용한다.
예) ‘나는 왕이로소이다.’
7. 대화를 하는 경우에는 “ ”를 쓴다. 생각은 ‘ ’를 쓴다.
8. 일부 글을 인용할 때에는 줄을 바꾸고 본문 글자 크기보다 1pt 작게 하여 나타낸다.
9. 들여쓰기를 원칙으로 한다. 들여쓰기를 하여 문단이 바뀌는 구분을 해준다.
문장과 문장 사이는 가능한 한 줄 띄기를 하지 않도록 한다.
10. 약력에서 각줄 끝 자 다음에는 온점을 찍지 않는다.
예) 한국문인협회 회원
12. 대화 글이 아닌 경우에는 문장 안에 가능하면 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단, 누구나 읽어서 연장자인 경우에는 경어를 사용한다.
예) 김 선생님께서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시고 계신다.
⟶ 김 선생이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13. 중복하여 사용되는 단어들은 가능하면 다른 대치어를 사용하여 문장을 조정한다.
예) 나는 오늘 일어나 거울을 봤다. 나는 화장실에 갔다. 나는 손을 씻었다.
14. 공식명칭은 원래의 명칭으로 쓴다.
예) 한국산문작가협회, 한국문인협회, 재미수필문학가협회, 국제PEN클럽,
15. 의성어는 “ ”를 쓴다.
16. 중략 표시: (…)
17. 호칭, 존칭 띄어쓰기: ~∨님
18. 작품 나열 시 작품 사이에 반점(쉼표) 넣지 않기
예) 『홍길동전』 『박씨전』 『구운몽』
19. 한글맞춤법에서 보조용언(먹어 ‘보다’/지켜 ‘오다’ / 할 ‘만하다’)은 띄어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쓰는 것도 허용한다. 띄어 쓰든 붙여 쓰든 한 편의 글 안에서는 통일성을 유지한다.
20. 숫자+단위(km, cm, m, kg, g 등)는 붙여 쓴다. 예) 30km, 490g
한글+한글 단위(되, 개, 개월 등)는 띄어 쓴다. 예) 삼십 개, 오십 줄, 오 개월
21. 이름은 붙여 쓴다. 예) 홍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