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제4부 들어가는 말.
가.니체는 인간의 정이 인간을 나약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나. 인생에서 고난 ,고통, 질병은 너무도 당연한 한계상황이며 이것을 단호히
이겨 나가야 한다는 것이 니체의 생각이다.
다.한계상황이 인간을 강하게 한다는 것이다.
2.제4부의 1장;<꿀 봉납>읽기.
가.차라투스트라는 꿀을 '미끼'로 인간을 행복으로 인도하고 자 한다.
나.'꿀'은 무엇일까. '힘에의 의지'라 할 수 있다
다.행복이란 자기의 의지에 따라 예상되는 고난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낯선 세계로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내는 행위다.
라.니체의『즐거운 학문』(1882)에서 '꿀벌학습법' 참고 바랍니다.
3.제4부의 2장<절박한 부르짖음>읽기.
가.니체는 미래의 '위버멘쉬'를 생각하는데, 쇼펜하우어를 닮은 예언자는 계속
'곤궁'과 '비탄'의 파도, 그 부르짖음만 계속 말한다.
나.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차라투스투라는 허무의 심연에 빠져있는 예언자에게
반박한다.
4.막심 고리키『가난한 사람들』중 3장<여자 마법사>읽기.
가.어느 시골 마을에서 만난 '이바니하'라는 여성에 관한 이야기다.
나.신에 대한 성찰을 하는 여자 마법사다. 진실이 믿음보다 위에 있으며 , 신은
믿어야 할 존재가 아니라 인간이 진실에 다다를 수 있도록 안내한 목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