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7일 목요일 오후 3시10분 판교반
- 수업 내용 -
읽기 자료
: 한국 성관계 안전 관리 (뜨거운 휴식) - 임성용 / 푸른 사상
어긋남에서 오는 웃음
말투에서는 직업, 성격, 출신, 지역 그리고 글의 줄거리까지를 알 수 있다.
PPT 자료
: ‘나이를 이르는 말’과 ‘숫자와 우리말’ 공부
*웃음
: 문학(수필)에서의 웃음 - 해학과 풍자
해학은 익살스러운 말이나 행동에서 나오는 웃음.
즉 웃음으로 껴안아 주기
풍자는 대상을 웃음거리로 삼아 우회적으로 비판할 때 나오는 웃음.
즉 웃음으로 공격하기.
아리스토텔레스와 베르그송의 웃음?
인간의 결점에 대한 인식 즉 어긋남, 딴소리, 자기를 낮출 때.
* 객관적 상관물
: 현대 시인들이 쓰는 시의 표현기법이지만 수필에서도 쓸 수 있다.
객관적 상관물은 정서를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사용된 구체적 사물이다. 화자의 분신이거나 정서를 자극하고 감정을 이입하기도 한다.
연암 박지원은 사물이 말하게 하자고 그가 살았던 조선시대에 이미 그런 말을 했다니…
* 삽화
: 글을 쓸 때 아는 걸 다 쓰지 말자.
주제를 드러낼 정도의 삽화이면 충분하다.
※ 회원들이 제출한 작품에 대한 평가가 있었다.
※ 비가 많이 옵니다. 비 조심하십시오.
안전한 집에서 좋은 글 쓰시며 즐겁게 지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