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상실과 마주하는 여학생의 성장통.
가.아버지 죽음에서 온 상실이 이 소설의 주제다. 주인공인 여학생은 아버지는 죽고,
언니는 출가하여 현재 어머니와 단 둘이 산다.
나.주인공 여학생이 느끼는 아버지의 상실과 작가 다자이 오사무가 느끼는
아버지의상실은 비슷한 부재의식일지도 모른다.
다.한 여학생이 아침에 일어나 잠들 때까지, 모든 내면의 생각을 독백으로 들려주는
일인칭 소설이다. 버지니아울프의 <<자기만의 방>>의 의식의 흐름기법서술임.
라.의식의 흐름의 기법에 따라 사춘기 여학생이 어떤 생각을 하면서 여인으로
성장하는지 그 과정과 불안감을 보여준다.
마.남성에 대한 미묘하고 독특한 여성 심리를 묘사; '선생님은 나의 팬티에 장미꽃
자수가 있다는 것조차 모른다'
바.마지막 문장은 하루 동안 작은 성장을 체험하고, 오지않는 행복, 또 반복해
다가올 상실을 명랑하게 대하겠다는 여학생 다짐으로 끝난다.
사.다자이 오사무(1909,6,19~1948,6,13); 다섯 번째 자살시도로 성공한다.
아.영화가 유투브에 있으니 보시기 바랍니다.
2. 소설가를 위한 소설쓰기(1 첫 문장과 첫 문단); 레스 에저턴 지음, 방진이 옮김.
가.구조와 첫 장면: 첫 장면은 어떻게 소설을 이끌까?
1).소설구조의 진화; 계기적 사건으로 바로시작한다. 서두도, 배경설명도 없다.
2).소포클레스의 희곡<<오이디푸스왕>>도 그렇다.
3).프롤로그와 에필로그도 말리고 싶다.
3. 김유정 선생님<<스테인레스>>합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