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사이(?)
여자 동창, 영미 씨한테 전화가 왔다.
“친구, 연극표가 있는데 낼모레 구경 갈까요?”
“그러지 뭐.”
전화를 끊고 잠시 생각했다. 영미 씨는 남편과 사별한 지 오래되었다. 동창 모임 때 내가 영미 씨랑 대화만 나눠도 “영미랑 무슨 이야기 했어?”라고 나한테 물어보는 여자 동창이 있었고, 영미 씨가 남자 동창들하고 수다를 떨면 몇몇 친구들은 색안경을 끼고 바라봤다. 그런 까닭에 둘이 연극을 본다는 건 누가 봐도 오해 살 일 같았다. 동창 필수랑 같이 가려고 “표 한 장 더 있는가?”라고 물었다. 표가 있어서 세 사람이 함께 연극을 볼 수 있었다. 필수도 부인이 죽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막내아들이 올해 대학에 들어갔단다.
연극을 보는 중에 중간중간 불이 꺼지고 여기저기서 유령이 나타났다. 그럴 때마다 영미 씨가 무서운지 소리를 지르며 내 팔을 붙잡았다.
연극을 본 지 사나흘 지났을까? 영미 씨한테 전화가 왔다.
“친구, 나 때문에 자네가 피해를 본 것 같아서 미안해요.”
“뭔 소리여?”
“나랑 연극 봤다고 자네 부인이 화를 냈다며?”
“누가 그려, 집사람은 모르는데?”
“혼자된 것도 죄가 되는가?”
영미 씨 목소리가 어찌나 크던지 나도 덩달아 목청을 높였다.
“영미 씨, 배우자를 잃은 슬픔이 가장 크다는 여론조사를 본 적이 있네, 누가 뭐라 해도 못 들은 척하고 힘내시게!”
영미 씨한테 힘내라는 말과 함께 전화를 끊었는데, 뜬소문을 듣고 영미 씨가 안쓰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미 씨가 얼마나 힘이 들었으면 연극 볼 때 유령이 나온다고 큰소리를 지르며 내 팔을 붙잡았을까? 영미 씨도 가슴에 맺힌 ‘응어리’를 세상 밖으로 토해내고 싶었는지 모를 일이다.
나도 어떤 일로 힘들고 괴로울 때가 있었다. 한이나 불만 따위로 맺혀있는 감정을 친한 친구한테 털어놓으면 속이 후련했다. 내 경험을 바탕으로 오래전 영미 씨와 필수, 상을 당했을 때 문상 갔던 일이 떠올랐다. 영미 씨 상가에서는 영미 씨가 ‘남편을 떠나보내고 혼자 어떻게 사냐고.’ 울먹거렸다.
필수도 부인상을 치를 때 초등학교에 다니는 늦둥이 아들과 함께 나란히 서서 손님을 받았다. 조문을 마치고 나오면서 아들을 껴안고 머리를 쓰다듬었다. 두 사람 슬픈 모습이 내 안에 자리 잡았는지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영미 씨와 필수, 두 친구한테 안부를 자주 묻는 편이다.
영미 씨는 남편과 사별한 지 7년이 넘었는데, 주변에서 돈 많은 ‘홀아비’ 소개해 준다고 여기저기서 재혼하라고 부추긴단다.
그 말을 듣고 필수와 영미 씨를 향한 내 마음이 한층 더 커졌다. 동창 모임 때 내가 먼저 말을 꺼냈다. “필수도 혼자된 지 오래됐잖아! 자네도 알다시피 ‘거시기’는 동창끼리 재혼해서 잘 살지 응. 어릴 적 함께 ‘소꿉놀이’를 하며 놀던 소꿉친구라며?”
잠시 후 화제를 다른 데로 돌렸다.
“티브이〈황금연못〉에 주로 65세 이상 노인들이 나오는 프로가 있거든, ‘부부가 함께 살다가 한쪽이 먼저 세상을 떴을 때 재혼을 할 것인가?’라고 사회자가 물었는데, 노인들은 대부분 재혼하는 것보다 연인처럼 만나서 차도 마시고 영화도 보면서, 자기 삶을 누리는 게 좋다는 의견이 많았단게. 자식 눈치 볼 필요 없디야.”
재혼해서 잘 사는 친구와 텔레비전에 나오는 이야기를 버무려가며 농담 반 진담 반 두 사람 속마음을 떠봤다. 내가 웃으면서 영미 씨한테 “필수 어뗘?”라고 물으면 영미 씨 얼굴이 빨개지면서 “호랭이 물어가네.”라고 생뚱맞게 굴었다.
‘호랭이’는 호랑이의 방언인데, 마음은 딴 데 있고 할 말이 없을 때 ‘호랭이 물어간다’라고 고향 사람들이 가끔 쓰는 말이다. 필수한테 “영미 씨는 어떤가?”라고 물으면 “술이나 한잔 따라.” 하며 자기 앞에 있는 술을 단숨에 마신 뒤 빈 잔을 나한테 내밀었다.
저녁 무렵 지난 일을 떠올리며 미소를 머금고 창밖을 바라봤다. 가을비가 여름 장맛비처럼 세차게 내렸다.
“단풍잎 다 떨어지면 어쩌지?”
혼잣말하고 있을 때 전화벨이 울렸다. 영미 씨한테 온 전화였다. 통화 버튼을 누르고 “영미 씨 오랜만이네.”라고 하자 영미 씨가 작은 소리로 말했다.
“친구! 고마워요. 지난 토요일, 필수 씨랑 덕수궁 돌담길을 걸었어요. 나뭇잎이 곱게 물들었어요.”
성동문학 제2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