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Zone
아이디    
비밀번호 
Home >  문학회 >  회원작품 >> 
 

* 작가명 : 이성화
* 작가소개/경력


* 이메일 : jhdgin@hanmail.net
* 홈페이지 :
  뗏목 위의 반짇고리    
글쓴이 : 이성화    19-11-01 22:45    조회 : 3,764

뗏목 위의 반짇고리

이성화

 

  남편은 보통 쉐타 공장이라고 말하는 니트 가공 공장 사장이다. 말이 사장이지 혼자 거의 모든 일을 다 해야 하는 노동자다. 결혼 전까지 주로 사무실 내근을 하던 나는 인건비를 줄여보려고 시다 일을 시작했다. 5년쯤 전 처음 공장을 시작할 때는 5,6명의 직원을 뽑았고, 바쁠 때는 두세 명씩 일당 직원까지 불러 일을 했었다. 4~5년이 지나자 상황이 너무 안 좋아져 두 명의 직원과 우리 부부가 예닐곱 명의 일을 해내다시피 한다.

  일을 시작하면서 아니, 5년이 지나도 나는 이 일이 몹시 힘들다. 체력적으로도 고되지만, 그동안 해왔던 일과는 너무 다른 분야라 모든 것이 쉽게 익숙해지지 않는다. 20년 이상 나이 차이가 있는 아주머니들과 같이 맞추어 일을 해야 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그 중에도 제일 낯선 것은 용어이다. ‘니트라고 하면 사람들이 잘 알아듣는데 꼭 쉐타공장이라고 해서 세탁공장이냐는 반문을 듣곤 한다.

  물론 무슨 일이든 어느 업종이든 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쓰는 전문용어나 속어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제조업 중에도 제일 아래 하청인 우리 같은 공장들은 일제 강점기의 잔재물인 일어도 아니고 영어도, 한국어도 아닌 이상한 말들이 존재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시다이다. 다른 분야에서는 어시라든지 보조라든지 다른 표현들을 쓰기도 하는가 싶지만 우리 공장이나 주변의 비슷한 하청공장들은 모두 시다라는 표현을 쓴다. 다른 말로 바꾸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지만 어시라는 것도 어차피 우리말은 아니고, ‘보조라는 것은 어쩐지 시다가 하는 일에 어울리는 적당한 명칭이 아닌 듯하다. 보조는 말 그대로 전문적인 일을 하는 사람을 도와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인데 시다가 하는 일은 그런 것이 아니다. 물론 기계를 다루는 사람들의 보조 역할도 하지만 그 외 온갖 잡일과 심부름도 도맡아 해야 한다. 또 전체적인 일의 흐름을 모르면 일을 할 수 없으니 그저 잡일꾼도 아니다. 그러니 그런 어감을 살리는 정확한 명칭을 만드는 것은 언어학자쯤이나 되거나 이 일을 오래도록 한 사람에게 어떻게 불리고 싶은지를 설문조사라도 해야 할 판이다.

  ‘시다말고도 알 수 없는 용어들은 넘친다. ‘미싱정도는 쉬운 단어이고 수파’, ‘인타’, ‘오바하는 기계부터 스쿠이’, ‘나나인찌’, ‘단가라’, ‘와꾸등등 수도 없다. 그 중 나나인찌같은 것은 단춧구멍 제조기정도로 바꿔 쓸 수도 있을 것 같고 단가라도 그냥 줄무늬라고 하면 될 것 같았는데 왜 바꾸지 않고 그냥 모두 그렇게 쓰는지 처음엔 좀 거슬리기도 하였다. 그런데 일을 하다 보니 왜 그런지 알 것도 같았다.

  우리 공장 직원들은 9시 출근, 오후 7시 퇴근이다. 점심시간은 한 시간도 아니고 50분이다. 바쁘면 야근은 당연한 일이고 밤 9시까지 야근할 때는 간단한 김밥이나 빵으로 저녁을 대신한다. 10시 넘게까지 일을 해야 할 때도 자장면 같은 빨리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저녁을 때우고 소화시킬 틈도 없이 일을 한다. 그렇게 일해서 받는 임금은 최저 임금을 조금 웃돈다. 숨 쉴 틈도 없이 일해서 자식들 먹이고 입히고 교육시켜 왔다. 무슨 말을 쓰는지 그 말이 일본어의 잔재인지 찌꺼기인지 따위는 관심도 없고 알 필요도 없다. 일본어든 욕설이든 공장주가 급여만 떼어먹지 않는다면 그걸 듣고 말하며 일한다. 공장주라고 해도 별 다를 것은 없다. 남편과 나는 친정엄마께 아이들을 맡기고 원단 쪼가리를 이불 삼아 잠깐씩 눈을 붙이면서 밤을 새우기도 하니 말이다.

  혁명이라고 불러주어야 마땅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성장을 이뤄낸 우리 부모님 세대는 모두 그렇게 일 해온 것이다. 지금 우리는 그 엄청난 성장의 거품 속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70년대 우리 부모님 세대가 동대문 시장 등의 도매시장을 끼고 제조업을 시작할 당시 기술자 월급은 7,80만원, 옷은 한 벌에 450원정도였다고 한다. 지금 우리 공장 직원들의 월급은 150-200만 원 정도로 두세 배 정도 올랐지만 옷값은 열 배에서 백 배까지 올랐다. 옷값의 대부분이 거품이다. 경제가 이렇다 저렇다 떠드는 사람들을 보면 경제인이고 정치인이고 다 데려다 공장에서 시다 일을 한 달만 시켜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체감경제교육 차원으로 말이다. 나도 사무실에서 컴퓨터나 만지는 일을 할 때는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 때는 대학을 막 졸업한 사회초년생이라 뭘 모르기도 했고, IMF에 청년기를 맞아 나름 고뇌하고 방황하느라 바빴기 때문이다. 지금 청년기와 중년기의 중간쯤에 서성이는 나는 제조업을 시작하여 수금을 떼이고 사기를 당하고, 부가세를 못 내서 신용불량의 위기에 놓였다. 그런 와중에 세 자녀를 키우며 살림하느라 동분서주한다. 그러다보니 청년기의 방황은 사치스런 추억으로 느껴진다.

  폐업을 생각해 보았고, 주변에 폐업하는 공장도 많다. 앞으로 얼마나 많은 공장이 부도와 폐업의 길을 갈지 모르겠다. 경제전문가들은 앞으로의 전망을 확언하기 힘드니 제조업이 사향 길로 접어드는 것으로 보인다.’고 조심스레 말한다. 하지만 제조업자들은 우리나라 제조업은 죽었다.’고 씁쓸하지만 당연하게 말한다. 그들은 죽어가는 제조업을 살리려고 최후까지 노력할 사람들이다. 어쩌면 죽어가는 것을 알지만 다른 대안도 방안도 없기에 그저 함께 가라앉을 날만을 꼽으며 버티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다.

  낯선 용어만큼이나 낯선 세계였고 익숙해지기까지 긴 시간이 걸렸다. 그다지 평범한 가정에서 자라지 못했지만, 내 결혼생활은 평범하길 막연히 꿈꿔왔다. 가라앉길 기다리는 제조업이라는 배를 보며 초조하고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더구나 제조업은 거대한 배라도 되지만 내가 타고 있는 것은 그에 빌붙은 뗏목에 불과하다.

  일을 계속하며 낯가림이 잦아들기 전, 처음부터 익숙한 말도 있었다. 스웨터의 소매 등을 수작업으로 마무리하는 작업대에 항상 놓여있는 반짇고리. 등에 온갖 바늘을 총총 꽂고 어쩐지 안쓰러운 모습으로 앉아 있다.

  그렇게 많은 정체불명 언어 속에서 살아남은 반짇고리에게 박수와 격려를 보낸다. 그리고 가라앉아가는 배 안에서 구명보트를 던져주든 자력으로 노를 저어 육지로 올라가든 위태로운 뗏목들이 꿋꿋이 살아남길 바란다.

2017. 4. 동인지 <수수밭길을 걸으며> 수록


 
   

이성화 님의 작품목록입니다.
전체게시물 28
번호 작  품  목  록 작가명 날짜 조회
공지 ★ 글쓰기 버튼이 보이지 않을 때(회원등급 … 사이버문학부 11-26 92588
공지 ★(공지) 발표된 작품만 올리세요. 사이버문학부 08-01 9480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