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문학실전수필(8. 08)
교수님 강의에 앞서 윤기정 문우가 준비해 온 ‘차별적 언어’에 대한 풀이가 있었다.
사랑의 뜻풀이로 바른 것은? (종로반)
1. 심층 연수
다음 중 사랑의 뜻풀이로 바른 것은 어느 것일까요?(답은 말미에)
① 이성의 상대에게 끌려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 또는 그 마음의 상태
② 어떤 상대의 매력에 끌려 열렬히 그리워하거니 좋아하는 마음
③ 남녀 간에 그리워하거나 좋아하는 마음, 또는 그런 일
‘언어결정론’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사회, 문화가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반대로 언어가 그들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이론이다. 언어학자 벤저민 워프(Benjamin L. Whorf. 미)의 주장이다. “우리는 우리의 모국어가 규정한 방식대로 자연을 분석한다.” 물론 이 이론에 대한 반론도 있지만 일정 부분은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를 적용하면 차별적 언어 사용은 차별적 사회를 만든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우리 언어 사회에서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차별적 언어를 살펴보고 문인으로서의 바람직한 글쓰기의 방향을 모색했다.
<차별적 언어의 예>(답은 말미에)
(??) 차별 (???) 차별
( ) 안에 들어갈 낱말을 생각해 보세요. (?) 숫자는 정담의 글자 수를 나타냅니다.
언어생활에서 무의식, 무의도적인 차별언어를 사용하지는 않았는지 자성하고, 수필가인 우리가 앞장서서 차별(적) 언어를 추방하여 차별 없는 사회, 품격 높은 문화를 만들자고 다짐하는 계기였다.
2. 합평:
영화 기생충(윤기정)은 영화 감상 수필이다.
그래서 영화 감상문, 영화평론과는 달리 영화와 관련한 나의 이야기가 허용된다. 다만 ‘영화 감상’이라는 특징을 생각하면 스토리 소개, 수용맥락(Reception Context) 차원에서의 감독, 주연 배우, 수상 내용 등의 정보, 나의 의견, 영화 외적 문제로 구성함이 일반적이다.
한국산문 7월호를 다루었다.
최우수작(?)은 단연 신인 공모 수상작 중 하나인 ‘파피, 그 결핍의 결정(結晶)’이라는데 이견이 없었다. 심사평처럼 신인답지 않은 ’내공이 튼실한 작가다‘ 서정 수필이면서 사유 수필의 경지를 보여준다. 종로반이 추구하는 사유와 서정의 적절한 결합을 보여주는 수작이다. 이성숙 작가의 등단을 축하했다.
3. 동정
가주 봉혜선 선생이 아드님의 수술 지켜보느라 참석치 못했다. 문우들 모두 수술 경과가 좋기를 빌었다.
① 1999년 초판본 ② 2012년 개정본 ③ 2014년 이후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다.
②가 ‘차별적 언어’가 아닙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인종에 따라 살색은 다르다. 한자어는 어린이에게 익숙하지 않다.
더 궁금하면 종로반 문우에게 질의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