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선물
신문주
갑자기 잔잔한 수면을 뚫고 은빛 잉어 한 마리가 공중으로 힘차게 솟구치다 물속으로 들어간다. 특히 겨울철에 한강변을 따라 걷다 보면 마주치게 되는 광경이다. 크기가 다양한 잉어들이 여기저기서 널을 뛴다. 발길을 멈추고 한 마리의 묘기를 응시하고 있으면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또 한 마리가 껑충 뛰어오른다. 이는 마치 슈베르트가 만든 <송어〉제4 악장의 경쾌한 음악에 맞춰 물고기들이 꼬리로 트램펄린을 치고 튕겨 오르는 것 같다. 물고기좌로 태어난 나는 이 광경을 지켜보면서 잉어들과 함께 뛰노는 마음이 된다.
그런데 잉어들은 왜 물 위로 뛰어오를까? 강태공들은 강가에서 낚싯줄을 드리우고 있고 기러기들은 물 위에 바짝 붙어 정찰비행을 하고 있는데 이들은 이를 아는지 모르는지 천진난만하게 폴짝폴짝 뛰어오른다. 이들이 뛰어오르는 이유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있다.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부족해서, 강 표면에 떠도는 벌레를 잡으려고, 몸에 붙은 기생충을 떨쳐 버리려고, 자신의 존재를 알리려고, 또는 보트나 수상 스키가 지나간 후 위협을 느끼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한편 미국의 낚시 전문가인 데니스 돕슨(Dennis Dobson)은 물고기들은 뛰어오르는 동작 자체가 즐거워서 뛰어오른다고 한다. 이렇게 의견이 분분하지만 잉어의 마음은 오직 창조주께서만 아실 것이다. 우리는 다만 잉어들이 펼치는 공연을 보면서 자연의 신비로움을 잠시 엿보게 된다.
한강은 물고기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천적인 온갖 새들의 서식처이기도 하다. 몇 년 전 겨울에 강변북로 쪽 산책로를 걷다가 저절로 발길이 멈추었다. 수많은 철새들이 강 표면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득 내려와 있었다. 철새들의 몸을 징검다리 삼아 내가 있는 곳에서 밤섬 쪽으로 성큼성큼 건너 갈 수 있을 듯했다. 강 표면을 뒤덮고 있는 철새 떼 광경은 자연의 장엄함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한편, 새들이 원형을 그리며 강 표면에 모여 있는 모습은 어릴 때 읽었던 안데르센 동화 『백조왕자』속으로 나를 데려다 주었다. 마녀인 새 왕비의 마법에 걸려 백조가 된 열한 명의 오빠 왕자들을 구하기 위해 막내 공주가 목숨을 걸고 쐐기풀을 구해 와서 손끝에 피가 나도록 망토를 만들었다. 그리고는 마법이 영구화되기 직전에 오빠들에게 한 벌씩 던져 주자 마법이 풀려 사람으로 돌아 왔다는 이야기이다. 빙 둘러싼 새들이 한 마리씩 사람으로 변모하는 기적이 내 눈앞에서 금방 일어날 것만 같은 신비스런 광경이었다.
어느 해 겨울은 한강 수면에서 새들이 숨바꼭질 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감탄하였다. 잉어들이 수면을 박차고 오르는 모습에 못지않게 물 위를 떠돌던 논병아리들이 잠수하는 모양도 진풍경이다. 텃새이면서 겨울철새인 논병아리는 겨울에는 머리 꼭대기와 등은 짙은 잿빛인데 몸의 아래쪽은 엷은 갈색이나 흰색이고 목옆은 흐린 갈색이 많다. 병아리를 닮아 몸이 작고 둥글며 날개와 꼬리가 짧다. 논병아리들은 물 위를 떼 지어 떠돌다가 장난기 많은 아이처럼 고개를 숙이고 몸을 수축시켜 동그랗게 만든 후 순간적으로 몸을 날려 물밑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언제쯤 물 밖으로 나오나 지켜보고 서 있는데, 손가락으로 열을 세어도 나오지 않는다. 어디서 나오는지 살피고 있으면 엉뚱한 곳에서 수면을 헤치고 불쑥 나타난다. 좁은 세계 안에 갇혀 살다가 이들을 만나면 나보다 더 큰 존재와 더 넓은 아름다운 세계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 때 마음속에 예수님의 말씀이 메아리쳐 들려온다. “공중의 새들을 보아라. 그것들은 씨를 뿌리거나 거두거나 곳간에 모아들이지 않아도 하늘에 계신 너희의 아버지께서 먹여 주신다. 너희는 새보다 훨씬 귀하지 않느냐?” 이 말씀은 창조주께서 이 많은 새들을 손수 돌보아 주시니 당신의 모상으로 창조된 인간들이라면 훨씬 더 잘 보살펴 주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연의 장관을 목격한 후 창조주께서 나도 돌보아 주심을 깨닫게 되면서 내 마음에 가득했던 어둠이 물러가고 빛이 점차 밝아졌다.
이천 년대 초 미국에서 공부할 때도 자연이 전해 주는 격려와 위로를 많이 받았다. 『월든(Walden)』으로 유명한 19세기 미국의 사상가 헨리 데이빗 소로(Henry David Thoreau)는 자연을 오랫동안 응시하면 자연 속에 깃든 신성(神性)을 경험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신성은 우리 안에도 있어 자연과 깊이 만날 때 우리는 자연 안의 신성과 교감을 하게 된다. 늦깎이 유학생으로서 평소 대학원 수업과 과제 준비로 여유 없이 살다가 가끔씩 자연을 찾아가 내 세계 밖에서 펼쳐지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나곤 했다. 그 당시 학교와 집에서 미시건 호수(Lake Michigan)까지 약 1.6 킬로미터밖에 되지 않았다. 어떤 때는 호숫가 방파제 끝까지 걸어갔지만, 또 어떤 때에는 호수가 보이는 언덕에 앉아 물을 바라보곤 했다. 논문 쓰느라 심신이 지쳤을 때, 마음에 먹구름이 드리웠을 때, 태평양 같이 광활한 호수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나와 내가 안고 있는 문제들이 무척 작게 느껴졌다. 나라고 하는 존재를 훨씬 넘어서는 미지의 세계가 거기에 있었다. 그 신비한 세계는 소로가 “야생이 세상을 보존한다(in Wildness is the preservation of the World)."라고 설파했을 때의 그 “야생”과 일맥상통한다. 야생은 우선적으로 사람이 손대지 않은 자연을 가리키지만, 부당한 전통과 관습에 맞서 진리를 추구하고 온갖 어려움을 용감하게 극복하는 우리 내면의 힘도 야생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안에 있는 야생은 신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자신의 한계와 늘 직면하고 사는 유학생으로서 자존감을 잃고 비틀거릴 때마다, 미시건 호수를 깊고 오래 응시했다. 이와 같이 자연과 교감하면 내 안에 숨어 있던 야생의 힘과 신성이 일깨워져 내가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
2007년 여름에 귀국한 후에는 한강변을 걸으면서 자연 속에 드러난 창조주의 손길을 응시하며 야생의 에너지를 받곤 하였다. 물이 내게 고향과 같은 이유는 어렸을 때 광안리 바닷물에 몸을 담그고 놀았던 기억 때문인 듯하다. 구상 시인이 읊었듯이 “저 강물의 한 방울이 / 어느 산골짝 옹달샘에 이어져 있고 / 아득한 푸른 바다에 이어져 있듯,” 한강은 광안리 바닷물과 미시건 호수와 전 세계의 강과 바다로 내 마음을 실어간다. 우리 대부분은 자신에게 있어 무엇이 진정한 성공인지 생각할 틈도 없이 단지 성공하기 위해서 숨 가쁘게 살아간다. 이러한 “피로 사회”에서 자연이 전해 주는 야생의 힘을 가득히 받을 수 있는 곳, 그래서 내가 본연의 신성한 나 자신이 될 수 있는 곳이 바로 한강이다. 보다 더 많은 이들이 한강의 선물을 누리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