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념무상] 신영애
퇴근길. 해가 저물어가는 노을을 본다. 밤이 되어도 어둠이 선뜻 다가오지 못하고 쭈뼛거리고 있다. 세상의 소리는 아직도 잠들 생각이 없는 듯 여전히 요란스럽다. 하루 종일 업무와 씨름하느라 퇴근 시간이 훨씬 지난 이 시간에 전철에 올랐다. 다들 초점을 잃은 눈빛이 삶에 지쳐있음을 고스란히 드러내 주고 있다. 가벼운 움직임에 어깨가 슬쩍 부딪쳐 메고 있던 가방 끈이 툭 떨어져도 서로 찡그림이 없다. 무표정한 얼굴로 말할 기운조차 없다는 듯하다. 아니 어쩌면 이해한다는 동질감인 듯 무심하게 핸드폰만 뚫어져라 보고 있다. 그런 모습이 마치 또 다른 나를 보는듯하여 애잔하기 까지 하다. 태양은 넘어 간지 오래. 뚜벅뚜벅 걷는 내 걸음 뒤로 길게 늘어진 그림자. 무거운 짐을 내려놓지 못하고 어줍잖게 어른 흉내를 내는 듯 낯설지는 않으면서도 측은하다. 무엇을 위해서 이리 열심히 살아가는 건지. 왜 쉰다는 것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이방인처럼 자신을 들볶아 가는 건지. 무엇이든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 견딜 수 없다는 건지. 그냥 가끔은 나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싶었다.
오랜만에 친정 엄마의 전화를 받았다. 당신은 참 고단했을 삶을 표현하지 않고 잘 살아 내신듯하여 존경스럽다고 생각이 들었다. 전화 내용은 언제나 같다. “밥 잘 먹고 다녀라. 감기 걸리지 않게 옷 단단히 입고 다녀라. 엄마는 잘 있으니 걱정하지 말라. 아프지 마라.” 나는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고 생각했던 그 모습이다. 사실은 가장 엄마다운 아니 인간다운 모습.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을 한결같은 믿음과 기다림으로 표현해 주시던 모습이었던 것을. 전화를 끊고 나니 눈물 한 방울이 또르르 흐른다. “엄마, 나 힘들어...”하고 떼를 쓰고 싶은 마음을 접었다. 감기 안 걸렸고, 밥 잘 먹고, 애들 공부 열심히 하고 김서방도 잘 있다고 그렇게 말했다. 그냥 눈물이 주르륵 흐른다. 직장 다니랴, 집에서 남편과 자식들을 돌보랴, 나 자신을 위해 시간을 할애하기가 결코 쉽지 않은 세월. 20년 가까이 보내놓고 보니 할 얘기는 많았으나 막상 무엇을 어디에서부터 얘기해야 할지 머릿속이 까마득하다. 또 사실 생각해 보면 세상의 많은 직장 맘들이 나처럼 그렇게 살아가고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스스로에게 위로도 해 주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뚜벅이 처럼 고개를 숙이고 세상을 똑바로 보지 못하고 걷는 것에 대하여 어느 순간부터 당연하게 생각했던 내 모습들. 아침마다 종종걸음으로 시간에 쫓기면서 살았다. 사계절을 누려볼 마음의 여유조차 없이 헐레벌떡 앞만 보고 달려 온 시간들. 인생 뭐 별거 있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별거 있다고 외쳐본 들 그 누가 내 얘기에 귀 기울여 줄 수 있을까. 아직도 뭔가에 갈증을 느끼고 아쉬운 마음이 더 앞서고 있다. 몸이 따라 주지 않음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미련함. 나 스스로도 회의적이기 까지 할 때가 많았다.
모닝커피 한잔에 감동하고 우르르 몰려 나가 의무감으로 해결하는 점심시간은 또 어떠한지. 좀 더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싶었던 치기 어린 마음은 이제는 아득하고 먼 이야기 같다. 사회생활조차 노련해 짐과 동시에 타협점을 우선 찾게 되는 늙은 병사가 되었다. 언제 밀려 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하루 업무가 내 마음속에서는 전쟁이다, 퇴근길이면 초점을 잃은 멍한 표정으로 무심하게 몸이 기억하는 노선에 나를 맡긴다. 철교 위를 지날 때 운이 좋아 노을이라도 보는 날이 있다. 문득 허리를 펴고 바라보는 저 시선의 끝에 우리가 바라보는 노을이 다만 저물어 가는 빛이 아님을 누군가와 함께 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그런 아름다운 빛이기를 희망해본다. 고독한 나그네의 걸음 속에서도 붉은 태양은 세상 속으로 고요하게 물들어가고 있다. 한낮의 뜨거움이 식은 뒤의 저녁노을은 우리 모두에게 편안함을 주는 안식처가 되기를 그리하여 지는 노을 뒤에는 꼭 어둠만이 오는 것이 아님을 알게 하고 싶다.